설국열차 : 기차 끝칸에서 혁명을 위한 계급사회가 시작된다.
본문 바로가기
movie 1

설국열차 : 기차 끝칸에서 혁명을 위한 계급사회가 시작된다.

by 영화 이야기 0519 2023. 2. 14.
반응형

 

 

1. 영화 기본 정보

감독 : 봉준호

출연진 : 크리스 에반스, 송강호, 에드 해리스, 존 허트, 틸다 스윈튼, 제이미 벨, 옥타비아 스펜서 외 다수

개봉일 : 2013.08.01

등급 : 15세 관람가

장르 : SF, 액션, 드라마

러닝 타임 : 125분

국가 : 대한민국

배급 : CJ ENM

 

2. 줄거리 요약

지구의 온난화로 인하여 전문가들은 평균기온이 적정온도 이하로 내려갈 것이라고 경고하는 가운데 지구에 한파가 덮치게 되고 모든 생물체는 멸종되는 순간이 오게 됩니다.

17년 동안 달리는 열차 안에 탄 사람들만이 유일한 생명체 이자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사람들이었습니다.

이 열차 안의 사람들은 결코 평범하진 않았고 각 열차 칸마다 계급이 나뉘어 그들만의 생존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열차의 맨 뒷칸 사람들은 단백질 바가 유일한 식단이었으며 아주 열악하고 지저분한 환경에서 살아갑니다. 그 속에서 커티스와 길리엄은 여러 계획을 세우며 열차의 맨 앞쪽 부유한 사람들이 지내는 곳을 침범하기 위해 기회를 엿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열차 내의 간부들이 주기적으로 돌아보며 아이들을 맨 앞칸으로 데려갑니다. 아이의 아버지는 그런 행동에 화가 나 간부에게 불만을 이야기하게 되고 그에게 한쪽 손을 동상으로 만드는 벌을 내리게 됩니다.

이 기차의 최고 설계자이며 권력자인 윌포드의 부하 메이슨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연설을 하기도 합니다.

커터스는 문을 지키고 있는 간부들이 총알 없는 총을 갖고 있다는 걸 눈치채고 머리에 총을 갖다 대보며 쏴보는데 역시나 총알은 나오지 않았고  끝칸 사람들은 반란을 일으키게 됩니다.

앞 칸으로 이동한 커티스 무리들은 크로놀 중독으로 감옥에 갇혀있던  열차 보안설계사인 남궁민을 찾아 앞칸으로 갈 수 있게 문을 열어주면 크노놀을 주겠다고 이야기합니다. 남궁민은 그의 딸 요나를 찾아주는 대가로 크로놀 두 덩이를 달라며 딜을 하게 되고 남궁민에 의해 열차의 문이 하나씩 열리게 되면서 맨 끝칸 사람들이 먹던 단백질 바의 정체를 알아차리게 됩니다.  계속하여 한 칸씩 이동하던 커티스 무리들은 물을 공급하는 칸에서 그곳 사람들과 협상을 벌이려고 하지만 무장한 군인들에 의해 혈투가 벌어지게 되고 그때 메이슨이 등장하여 너희들 중 대부분이 죽게 될 것이라고 엄포를 내립니다.

열차는 긴 터널 속으로 들어갔고 열차 안은 암흑이 되었습니다.

군인들과 메이슨은 이런 사태를 직감한 듯이 대비를 했지만 커티스 무리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되었고 그때 민수가 성냥으로  횃불을 만들어 반격을 시도하게 됩니다.

메이슨과 커티슨 무리들은 다시 협상을 하게 되고 메이슨은 윌포드를 죽이고 자신을 살려달라고 하는데 커티슨은 그의 말을 믿지 않습니다. 그의 희망은 맨 첫 칸으로 이동하는 것이었습니다. 커티슨 무리들은 메이슨을 인질로 잡고 계속 앞칸으로 전진을 해 나가고 앞으로 갈수록 점점 그 칸안의 호화로운 생활을 하는  사람들을 보며 자신들의 처지와 비교를 하며 원망을 합니다. 그들의 뒤를 쫒는 군인들과의 계속되는 추격전으로 인하여 살아남은 커티스와 남궁민 요나는 마약을 실은 칸에서 크노놀을 몽땅 쓸어 담고 열차의 머리칸에 점점 도달하게 됩니다. 

문을 열어라는 커티스의 말에 남궁민은 크노놀을 이용해 폭파시키고 다른 문으로 나가는 방향을 제시해 줍니다.

폭탄을 설치하고 문을 폭파하려던 순간 윌포드의 비서가 나타나 남궁민에게 총을 쏘았고 커티스는 살아남아 드디어 윌포트와 마주하게 됩니다. 윌포트는 열차 안의 사람들을 죽여 인구를 줄이기 위한 연출을 했다는 사실과 열차에 부품 하나가 없어져 아이들을 이용해 물품을 대신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을 이야기해 주었고 화가 난 커티스는 윌포드를 폭행해버리고  부품 노릇을 하는 아이들을 구해냅니다.

열차의 문을 드디어 폭파해 버리고  그 속에서 살아남은 요나와 아이들은 눈 덮인 세상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